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28

심리학 나르시시스트 나르시시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왜 이러한 행동을 하는 걸까요? 이러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왜 이러는지에 대해서 알게 되면은 우리는 그에 따라서 대비할 수 있습니다. 혹시 주위에 이런 사람들 때문에 힘든 적 있지 않나요? 나나 주위 사람들한테 좋은 일이 생겼어요. 시험을 잘 본 걸 수도 있고, 하려고 했던 프로젝트가 잘 마무리가 되었을 수도 있어요. 근데 꼭 옆에서 핀잔을 주는 사람들이 있죠. 난 이거 더 잘 봤는데 이거 생각보다 시험 쉬었는데 라고 얘기를 하거나 프로젝트 같은 거 할 때도 이거 별거 아닌데 생각보다 이거 금방금방 하는 건데 라고 얘기하면서 굳이 깎아내리는 사람들이 있어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깎아내리기보다는 축하해 주려는 경향을 가집니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사람들은 자기와 .. 2023. 5. 30.
심근경색의 증상과 대처법 없어 이런 거 아닙니다. 진짜 심근경색 환자의 80프로가 굉장히 전형적인 증상이 있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운동한 데카타입니다. 굉장히 많은 분들이 협심증은 뭐고 심근경색은 뭐지? 이거 되게 헷갈려 하시는 분이 많은데 심근경색부터 설명드릴게요. 우리 몸에 핏줄이 있잖아요. 여기서 빨간색이 동맥이에 동맥은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가는 상행선이에요. 그래서 동맥이 막히면 그 밑에 부분이 썩습니다. 괴사가 일어나요. 그래서 우리 몸에 피가 안 흐르는 시간이 없도록 심장이 매일매일 한 순간도 쉬지 않고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심장도 핏줄이 있어요. 심장도 심장을 먹여 살리는 동맥이 세 가닥이 있습니다. 이거를 관상동맥이라고 해요. 이게 거꾸로 뒤집으면 왕건하고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관상동맥이라고 합니다. 그.. 2023. 5. 30.
주민등록증과 주민등록번호가 다른 나라에도 있을까? 우리나라에선 아기가 태어나 출생신고를 하는 순간 국가가 13자리의 숫자를 붙여줍니다. 이게 주민등록번호죠. 그리고 17살이 되면 의무적으로 주민등록증을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이게 당연한 걸까요? 그렇다면 대다수의 나라에서는 왜 주민등록증이나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걸까요? 오래전부터 광범위하게 이 개인 식별번호가 사용되었기에 우리는 대부분 이에 대한 의문조차 갖지 않습니다. 그런데 가만 생각해 보면 국가는 우리를 이 숫자로 분류해 관리해 오고 있습니다. 우리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것이 이 주민등록번호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입학할 때 입대할 때 취직할 때 세금 낼 때 병원 갈 때 집을 살 때 이사할 때 심지어 핸드폰 살 때도 그렇습니다. 이 숫자를 통해 내가 한 일은 모조리 국가에 보고되죠. 그러니 국가는 .. 2023. 5. 26.
한국의 직장문화에 군대는 얼마나 영향을 미쳤나? 88만 원 세대가 직면하는 비정규직이 넘쳐나는 시댁 20대를 88만 원 세대라고 하죠. 이십대 연구를 하다 보니까 뭔가 새로운 현상을 본 게 사실은 직장 문화에요. 십대이기도 할 거지만 뭐 인권이나 도덕이나 윤리 문제만이 아니라 경제 성장률이라고 아니면 개별 개별 기업들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 점에서 지금 이 직장 문화가 우리한테 어떻게 발목을 잡고 있는지 그 얘기를 같이 한 번 나눠볼까 합니다. 한국의 직장 생활이 어떤 건지 분명히 보여주는 사진이 있습니다. 사진 한번 보실까요? 이 두 사진이 어떤 사진인지 혹시 아시겠어요? 왼쪽에 있는 사진은 우리가 모두 다 아는 그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 때 그 시위 사진인 것 같고요. 오른쪽은 모 항공사 사주에 대한 그런 저항 운동인데 제가 보는 큰 .. 2023.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