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46

뇌 가소성이란 무엇인가? 우린 왜 꿈을 꿀까요? 아마도 지구가 잔잔하기 때문 모릅니다. 이게 무슨 바보 같은 소리일까요? 우리 뇌가 금성수를 믿기라도 한다는 걸까요? 하고 지도 모르지만 그렇게 생각 만한 과학적 근거가 있습니다. 우리는 스마트폰, 인터넷 등 최신 기술을 누리고 살지만 사실 우리 뇌는 20만 년 전 조상의 뇌와 다를 바 없다는 말이 있죠. 그렇다면 우리가 를 가지고 과거로 간다면 혹은 반대로 10만 년 전의 가 지금 태어난다면 어떻게 될까요? 놀랍게도 두 경우 모두 별 문제는 없을 겁니다. 바로 뇌 가소성 덕분입니다. 인간은 지구에서 가장 번성한 동물입니다. 지구 곳곳에 퍼져 사망 남극은 물론 화성까지도 호시탐탐 노리고 있죠. 어떻게 이게 가능했던 걸까요? 뇌는 적응력을 위해 위험한 도박을 했습니다. 인간들이 상대.. 2023. 5. 30.
레오나르도 다빈치 노트에 담겨진 비밀 1687년 나무에서 떨어지는 사과를 보며 만유인력을 발견한 현대 과학의 아버지 아이작 뉴턴. 마유일락의 발견으로 인류의 과학은 눈에 띄는 속도로 발전해 나가며 수세기 동안 수많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 결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막스보른의 양자 역학이 탄생하였고, 현재 인류는 조금 더 밝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죠. 그런데 지난 2월, 지금까지의 과학 근간을 만든 만유 인력을 뉴턴보다 무려 200년 먼저 발견한 과학자가 있었다는 사실 밝혀졌는데요. 그 주인공은 바로 화가이자 조각가이자 건축가이자 발명가이자 과학자인 레오나르도 다빈치였습니다. 그는 평소 자신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모든 것들을 아이디어, 노트, 코덱스, 아론델에 적으며 말도 안 되는 발명품들을 구상하고는 하였는데요. 칼을 .. 2023. 5. 26.
심해 생물들의 크기는 왜 거대해졌나? 바다는 지구의 70%를 차지하고 있지만, 극히 일부만 밝혀진 미지의 공간입니다. 특히 우주 탐사만큼이나 어렵다는 심해는 더더욱. 그런데요 아마 옛 사람들이 리비아탄이나 크라켄과 같은 바다 괴수들의 존재를 상상했던 것도 이런 미지에서 비롯됐을 테죠. 심해의 기준을 명확히 정의 내리긴 어렵지만, 바다의 깊이에 따라 이렇게 분류했을 때, 여기, 혹은 빛이 들어오지 않는 상부 심해저대부터 치매로 보기도 합니다. 심해에는 과거 사람들의 상상처럼 낯설고 괴상한 생물들로 가득한데요. 최대 몸 길이 8m의, 지구에서 가장 긴 경골어류인 거대 갈치부터, 발광 미끼를 달고 사는 심의 아귀와 긴 이빨을 지닌 귀신고기, 키메라라고 불리는 독특한 생김새의 상어 또 심해 4천 미터에서는 붉은 빛을 뽐내는 아톨라 해파리는 물론, .. 2023. 5. 24.
생명체 탄생의 원리 세균 DNA 진화 다양성 원리를 바탕으로 설명드립니다. 그런데 군사 하나가 한 6km까지 달하는 군사가 발견된 바가 그리고 방사능에 끄떡없는 세균이 있어요. 방사능을 활용을 해서 멸균을 해봤어요. 방사능 저희도 안 죽는 거예요. 우리한테 치명적인 거에 한 천 배를 이상 줘도 얘는 안 죽는 거예요. 생물 속생설 그리고 이 진화의 관점에서 보면 생명체는 생명체에서만 태어나니까 우리가 부르는 병아리가 태어날 수 있는 달걀이 있으려면 그걸 낳는 닭이 있어야 되는데 닭과는 조금 다른 조상이 되는 어떤 새가 알을 낳은 게 닭으로 변이 이렇게 가는 과정을 본다고 그러면 닭과 달걀 중에서 닭이 먼저라고 볼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그 닭 닭은 우리가 말하는 그 닭이 아니고 닭의 보상이 되는 그 어떤 새였을 것이 그렇게 말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각.. 2023.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