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28 내몽골이 중국의 영토가 된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보통 세계 지도나 지구본에서 동아시아 지역을 볼 때 항상 궁금했던 부분이 있었습니다. 바로 이 독립 국가로서의 몽골과 중국의 일부분으로서의 내 몽골이 서로 별도로 구분되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지금 와서 본다면 주변에 있는 이 국가들만 봐도 대충 몽골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예상이 가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아마 그 예상은 맞을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몽골을 둘러싼 주변 국가들의 대립과 분리 과정에 대해서 빠르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3세기 중반 아시아 전역과 동유럽 일부까지 정벌하며 지옥의 사자로 여겨졌던 몽골은 이후 이렇게 네 개의 국가로 갈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 이곳 중국 전 대륙을 지배하고 있던 원나라는 약 100년 뒤인 1368년 새롭게 등장한 한족의 국가 명나라에게 수도를 빼앗.. 2023. 5. 10. 우리나라 경제 위기의 역사와 현재 다가오고 있는 위기에 해대 설명해 드립니다. 96년도에는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경제 파국으로 치달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해요. 당연히 예방할 수 있었죠. 모두 다 은폐되니까 미처 알지를 못했던 거죠. 문제는 뭐냐 하면 지난해 하반기 금융위기가 시작을 했어요. 1월달에 사태가 터졌잖아요. 건설업계 전반이 유동성 위기에 빠졌고 이미 그때 국민주의가 물밑에서 진행했다는 걸 의미해요. 지금 이제 가장 심각한 것은 역시 부동산 시장과 관련된 곳들이죠. 지금은 이제 장기 정치에 들어갔어요. 이거는 역사적으로 항상 그려왔는데 문제는 뭐냐 하면 글로벌 국제금융위기가 언제 터져서 우리나라를 덮치느냐에요. 그럼 이 장기 정체도 못 버텨요 그러면 부동산 가격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저는 보고 있어요. 그나마 건설회사들은 좀 나아요. 근데 시행사들은 큰 타격을 입을 .. 2023. 5. 10. 우리나라 고령화 심각성과 그 해결책 요즘에요. 가난한 사람이 얼마나 많냐 하면요. 노인들이요 무료 노인 급식소가 있거든요. 예를 들어 빨간 밥차이 사회단체도 많이 하잖아요. 그러면 줄이 장사진이 일어나요. 그래서 이제 쪽박 숙소 그러니까 신용불량자 그 다음에 코로나로 인해서 부채가 늘어나니까 가게 문을 닫고 생계가 걸린 사람이 늘어나니까 기초생활 수급자가 늘어나는 겁니다. 그래도 틈새 받아 돌보지 못한 사람들이 굴보 종경이 가끔 피곤하잖아요. 왜 가난한 사람이 많으냐 이렇게 물어요. 누가 노인들이 오래 살으니까 그래요 재수 없으면 백이 살까지 산다는 말이 나옵니다. 사실 소비의 미덕도 필요하지만은 노력으로 집을 살 수 없는 것을 젊은이들이 알고 있잖아요. 연봉 받아가지고 집단 되는 건 불가능한 걸 알기 때문에 그러니까 그 젊은이들이 좌절감.. 2023. 5. 9. 인류의 여정 농업혁명을 거쳐 산업혁명까지 지난 30만 년간 인류의 삶은 생존을 거의 유지하는 수준이었습니다. 100년이 3천 번을 지나야 하는 긴 기간 동안 농업혁명이 일어나고 온갖 기술이 발전해도 인류는 항상 추위와 배고픔에 떨다가 질병으로 일찍 죽었습니다. 17세기를 예로 들어볼게요 아기 넷이 태어나면 그 중 1명은 철돌 전에 죽었고 나머지 3명은 마흔을 넘기지 못했습니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식수를 길러오는데 오랜 시간을 쏟아부어야 했고 목욕은 어쩌다 한 번씩만 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이 시골에서 태어나 태어난 곳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한 채 매일 고된 노동을 반복해야 했습니다. 하루 종일 일해도 먹을 거리는 보잘 것 없었고 항상 배를 굶주려야 했죠. 반면 지금 우리는 아주 예외적인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배부르.. 2023. 5. 9. 이전 1 ··· 72 73 74 75 76 77 78 ··· 1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