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컵에 뜨거운 음료 나노 플라스틱 폭탄을 드신 겁니다.
종이컵에 커피 마셨는데 나노 플라스틱 폭탄이었다.
헐 뉴스 제목이 무시무시하네요. 종이컵에 뜨거운 물을 담아놨더니 나노 플라스틱 입자가 오조개나 나왔다는 거죠.
억도 아니고 조 그러니 폭탄이다. 폭탄 범벅 투성이 덩어리 이런 자극적인 표현 기사 제목으로 많이 나오죠 그래서 제가 이 기사의 근거가 된 논문을 한번 살펴봤습니다.
그전에 우선 종이컵이란 무엇인가 이 종이컵이요 사실은 순수한 종이컵이 아닙니다.
이 안쪽 면은 폴리에틸렌이라고 하는 얇은 플라스틱 막으로 코팅이 되어 있거든요.
종이컵이면서 동시에 플라스틱 컵인 것 여기 보세요.
종이컵의 봉다리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내면 폴리에틸렌 코팅 이렇게 폴리에틸렌 줄여서 피이라고 합니다.
종이컵 내면에 코팅된 것은 엘디피이 즉 저밀도 폴리에틸렌입니다.
엘디피는 비닐같이 부들부들하지만 그것도 플라스틱입니다.
플라스틱은요 성형이 가능한 합성 수질을 플라스틱이라고 합니다.
이제 기사의 근거가 된 논문을 살펴볼게요 2022년 4월에 미국의 리스트 즉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가 발표한 겁니다.
이런 종이컵에다가 완전 순수한 물을 담는데 100도씨에 뜨거운 물도 담아보고 그냥 22도씨에 찬물도 담아봤습니다.
그리고 20분 동안 놔둔 후에 물에 흘러나온 플라스틱 입자의 개수가 몇 개나 되는지 세어봤더니 100도씨의 물에서는 플라스틱 입자가 리터당 51조 개 정도였고 22도씨의 물에는 리터당 28조 개 정도였다고 합니다.
백만 개 천만 개도 아니고 조 놀랍죠 일조는요 1억이 1만 개 있는 게 일조입니다.
공이 열두 개 그래서 기자가 폭탄이라는 단어를 쓴 것 같습니다.
근데 이게요 폭탄이라고 하려면 그 개수보다는 얼마난 크기의 입자인지 그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좀 고려해 봐야 되지 않을까요.
플라스틱 입자를 말할 때 마이크로 플라스틱 그리고 나노 플라스틱이라는 용어가 있어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우리 말로 미세 플라스틱이라고 번역되는데요.
5mm 이하의 크기를 말합니다. 1mm보다 작은 건 마이크로미터라는 단위를 쓰는데요.
1천 마이크로미터가 1mm입니다.
1마이크로미터보다 더 작은 건 나노미터라는 단위를 씁니다.
1천 나노미터가 1마이크로미터죠 그러니까 나노 플라스틱이라고 하면 1마이크로미터보다 더 작은 입자를 말합니다.
이건 일반 현미경으로도 안 보이고요 전자 현미경으로나 보이는 크기입니다.
이 연구에서 보았던 나노 플라스틱의 크기는요 30 내지 80 나노미터의 크기였습니다.
엄청 작아요. 개수는 조단이지만 그 양으로 생각하면 아주 아주 미려 이 논문에서는 70 나노미터 짜리 입자의 무게를 영 2 페타그램이라고 추정합니다.
페타그램은 10의 마이너스 15승 그램입니다.
상상이 안 되는 무게죠 뜨거운 물 1리터당 5점 1조개의 나노 플라스틱이 나온 거라면 삼백 미리의 물 한 컵에는 약 1점칠 조개 그러니까 나노 플라스틱 1.7쪽의 무게는 0.0034g입니다.
무게로만 따지자면 정말 적은 양이죠.
이 실험에서 이 종이컵 내면의 코팅에서 물로 빠져나온 플라스틱의 양은 전체 코팅된 양의 0.01% 즉 만 분의 1 정도였다고 합니다.
연구자들은 이 수치가 미국 fda가 허용한 허용치인 1퍼센트보다 한참 밑도는 수준이라면서 일단은 안심을 시킵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입자의 크기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합니다.
이 연구에서 측정된 나노 플라스틱 입자의 크기가 보통 30 내지 팔십 나노미터였어요.
나노 사이즈 이 정도면 엔도사이토시스 즉 세포 안으로 쑥 들어갈 수 있는 사이즈라는 거죠.
니스트가 보도한 뉴스 기사에 보면요.
이 연구를 주관했던 장마이스터 박사가 말한 내용이 나옵니다.
그동안 발견되었던 미세 플라스틱의 크기는 사람의 세포 속으로 들어가서 신체적인 문제를 일으킬 만큼의 작은 크기는 아니었다.
그런데 우리가 연구해 보니 다르더라 나노 플라스틱은 진짜 작다 그러니 문제다 사람의 세포 속으로 들어갈 수 있으니까 어쩌면 세포의 기능을 어지럽힐 수도 있으니까 그럼 우리나라 식약처는 이 종이컵에 대해서 어떻게 말하고 있을까요.
이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공식 블로그입니다.
일회용 종이컵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정리돼 있어요.
6번 질문에 일회용 종이컵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피이가 녹아 나온다고 하는데 피가 몸에 해롭지는 않나요.
그 밑에 답은 일회용 종이컵에 뜨거운 물을 부어도 피는 녹아나지 않습니다.
물에 끓는 점은 백도씨나 피 이에 녹는 온도는 백오도 내지 백10도로 끓는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며 또한 설령 미량 녹는다 하더라도 피는 분자량이 매우 큰 고분자 물질로서 체내에 흡수될 수 없어 건강상 위해는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게 우리 식약처의 답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연구 결과에 비춰보면 이 식약처의 답변이 좀 수정이 돼야 할 것 같습니다.
일회용 종이컵에 뜨거운 물을 부어도 피가 녹아나지 않는다는 그 말은 틀린 것으로 보입니다.
뜨거운 물은 물론이고 22도씨에 찬물에서도 나노 입자가 녹아 나오는 걸 확인했잖아요.
설령 미량 녹는다 하더라도 피는 고분자 물질이라서 체내에 흡수될 수 없다는 말에도 의문이 생깁니다.
이번 니스트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피이가 삼십 내지 팔십 나노미터
크기로도 용출되어 나오는데 그게 사람 세포 안으로도 들어갈 수 있는 크기라고 하니까 말입니다.
여러분 그래서 저는 생각을 이렇게 정리합니다.
첫째 플라스틱은 고마운 재료다 지금 플라스틱이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 어렵다.
피할 수 없다면 받아들이자 둘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페트 이런 플라스틱 성분 그 자체는 설령 흡수되더라도 사람 즉 인체의 독성을 나타낸다고 단정 지을 만한 근거는 아직은 없다.
셋째 그런데 그 입자 크기가 나노 사이즈로 작아져서 그게 세포 속으로 들어온다면 그건 또 모르는 일이다.
좀 찜찜하다 넷째 그러므로 피할 수 있다면 피하자 즉 그릇이나 컵은 가급적 유리나 도기로 된 것을 선택하자 종이컵은 그저 종이가 아니다.
그 내면은 플라스틱 컵라면 안쪽도 마찬가지 아무 생각 없이 종이컵을 계속 쓰지는 말자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가 빠른 이유 (0) | 2022.06.16 |
---|---|
아크릴 수세미와 미세 플라스틱 (0) | 2022.06.16 |
현재 발생하고 있는 가뭄의 원인 (0) | 2022.06.13 |
에코백과 텀블러 몇 번 정도 써야 도움이 될까 (0) | 2022.06.13 |
소의 방귀가 환경을 오염시킨다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