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올바른 쓰레기 분리수거 배출 방법

by 로이인랑 2022. 5. 19.
반응형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지침은 마개를 떼고 라벨을 떼고 배출하는 것이 분리배출의 공식 지침입니다. 


따라서 라벨은 떼고 배출하시는 게 원칙이고요 

 


생산자가 문제이기 때문에 어쨌든 그 라벨을 제거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시면 되고요 마갤을 떼고 버리게 되면은 실제 그 마게는 재활용이 안 되는 거거든요. 


선별장에서 선별이 안 되니까 재활용이 안 되는 거죠. 


 일단은 마개를 열어야 돼요 왜냐하면 선별장에서 페트병을 골라내어서 압축을 해야 되거든요. 


근데 압축을 할 때 마개를 닫아서 배출하게 되면 공기가 들어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페트병이 압축이 안 돼요 전기 소모라든지 에너지 소모가 많아지게 되고 압축이 제대로 안 되면 운반할 때
어 운반 효율이 떨어져요.

 

 그래서 이 문제를 대처를 하려면 일단 마개를 열어요. 


마개를 열은 다음에 발로 밟아요. 

 

발로 밟아서 페트병을 압축시킨 다음에 마개를 다시 닫아서 교신하시면 돼요 그러면 어 재활용하는 공정에서 마개와 페트병 본체가 분리가 돼요. 


페트병은 본체는 물에 깔아앉고 막에는 물에 뜨거든요. 
이렇게 해서 이제 재활용 공정에서
분리가 되기 때문에 우리가 마개를 닫아서 분리 배출하셔도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캔은 크게 두 가지가 있잖아요. 철캔 알루미늄 캔 식품을 담는 용기들은 대부분 철캔이에요. 
그 통조림이라든지 참치 같은 캔들은 대부분 철를 씁니다. 
그리고 음료를 담는 캔들은 대부분 알리늄 캔이에요.
근데 우리는 어쨌든 구분 없이 캔을 분리 배출 하시잖아요. 


분리 배출하면 선별장에서 철캔과 알루미늄 캔은 따로 별도로 선별이 돼요. 


그러면 철캔은 철강회사로 갑니다. 그래서 녹여서 고철로 녹여서 다시 철강 제품을 만드는 거고요 알루미늄은 다시 알루미늄을 재활용하는 업체로 가는 것이죠. 


그래서 알루미늄 제품을 만들죠


금속은 용광로에 녹이잖아요. 그래서 웬만한 오염물질은 다 탑니다. 


체중 재활용하는 공정에서의 음식물이 조금 묻어있는 것은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고 생각을 해요. 


그런데 음식물이 묻어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선별과 하는 중간 과정에서 작업자의 환경 위생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그래서 음식물을 담았던 캔을 분리 배출할 때는 일단 음식물을 세척해서 제거하고 해서 버리는 게 맞죠.


최악의 경우에는 안에 있는 치약을 다 짜서 쓰시면 될 텐데 그 부분을 과일로 잘라서 안에 있는 부분들을 세척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그 부분까지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을 해요. 


그래서 치약의 경우에는 내용물을 최대한 짜서 소비를 하시고 치약 튜브를 보시면 분리 배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분리 배출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은 재활용품으로 분리 배출을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실제로는 치약은 부피가 작기 때문에 선별이 안 돼요.

 

따라서 치약의 경우에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포장제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유를 버리실 때 치약도 같이 버리시면 됩니다.


의류 같은 경우에는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사용하지 않는 의류를 아름다운 가게 등 재사용 가게에 직접 기부하는 방식으로 재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가장 바람직한 배출 방법입니다. 

 

두 번째는 집 주변에 설치된 의류 수거함으로 배출되는 어 방법인데요. 
이 의류수암은 민간 사업자가 운영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의류 수거함에 모은 의류를 모아서 자체 선별 작업장에서 선별한 이후에
사용이 가능한 것은 대부분 제3세계로 수출하는 방법으로 처리를 하고 있고요 재사용이 불가능한 오류는 국내에서 폐기물로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겨울 옷 같은 경우에는 주로 중앙 아시아 이런 지역으로 수출을 하고요
겨울 여름 옷 같은 경우에는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 지역으로 현재 수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의류들이 오염이 됩니다. 
그래서 재사용할 수 있는 의류의 양과 상태가 나빠진다라고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의류를 재사용하고자 한다면 국내 재사용 산업과 문화를 육성해서 국내에서 우선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 대상 품목입니다. 

 

에어캡도 생산자 책임 재활용대상 품목이고요


라면 스프도 생산자 책임 재활용 대상 품목입니다.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 대상 품목이라는 것은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할 때에 관련된 재활용 비용을 부담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자 책임 재활용 대상 품목은 분리 배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라면 스프의 경우에는 내용물에 연분이 들어가 있습니다. 


분리 배출을 하게 되면은 연분이 잔류를 하게 되면 고형연료 제품으로 재활용할 경우에 염소 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라면 스프를 분리 배출할 경우에는 한 번 세척을 하셔서 안에 들어있는 스퍼 잔류물을 제거하시고 배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물티슈는 합성 섬유로 만든 것이지 않습니까 합성 섬유도 플라스틱으로 분류가 됩니다. 


그래서 물티슈를 변기로 배출을 하시게 되면 플라스틱을 바다로 배출하는 행위를 하시는 것이기 때문에 물티슈는 절대 변기로 버리면 안 됩니다.


물티슈는 반드시 폐기물로 배출을 하셔야 되고요 일부 대나무 재질로 만든 물티슈가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레이온 섬유로 만든 물티슈인데요. 레이온 섬유는 생분해는 잘 되는 재질입니다. 


하지만 생분해가 잘 되는 재질이라고 하더라도 변기를 통해서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가는 기간 동안에는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거거든요. 


훨씬 더 분해가 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이기 때문에 분해가 되는 생분의 재질이라고 하더라도 화장실 변기로 버리게 되면은 하수관 막힘 현상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물티슈는 변기로 버리시면 안 됩니다.


박스가 재활용이 안 된다라고 하는 잘못된 정보가 왜 돌아다니는지는 모르겠어요. 


스티로폼은 재활용이 아주 잘 되는 재질입니다. 
스티로폼은 정식 명칭이 발포 폴리스티렌이라고 하는 재질이에요. 
그러니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피에스라고 하는 플라스틱 재질이에요. 
그래서 스티로폼을 분리 배출하시면 선별장에서 스티로폼을 녹여요 스티로폼 안에 들어가 있는 공기를 다 빼내는 거죠.
그러면은 아주 굵은 형태의 가래떡 모양이 나와요 그걸 잉고트라고 얘기합니다. 
그 선별장에서 잉고트가 만들어지면은 그 잉고트를 가지고 가서 재활용 업체에서 국수 가락처럼 뽑아내요 뽑아낸 다음에 식혀서 다시 잘라요 그러면 쌀알 모양의 작은 알갱이가 나옵니다. 
이것을 펠릿이라고 얘기를 합니다. 이 펠릿이 만들어지면은 플라스틱 재생원료가 만들어졌다라고 얘기를 해요. 
이 펠릿을 가지고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업체로 가서 최종적으로 플라스틱 재활용 제품이 만들어지는 거죠.
스티로폼을 녹여서 만든 펠릿으로 많이 만드는 제품이 우리가 볼 수 있는 사진 액자 있죠 이 사진 액자를 스티로폼을 재활용해서 많이 만듭니다. 
따라서 우리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스티로폼 상자는 재활용이 잘 되는 플라스틱입니다. 
따라서 분리 배출을 하시면 됩니다.

 

아이스팩은절대 내용물을 변기로 버리시면 안 됩니다. 아이스팩 안에 들어가
있는 성분은 아크릴이라고 하는 폴리머예요. 쉽게 말하면 플라스틱이 안에 들어가 있는 겁니다.
따라서 아이스팩
안에 있는 내용물을 변기로 버리시게 되면은 플라스틱을 그냥 바다로 버려지는 한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스팩은 재사용 프로그램이 있는 곳에서는 원형 그대로 반환을 하셔서 재사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고요 재사용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통째로 종량제 봉투로 쓰레기로 배출하시는 것이 올바른 배출 방법입니다.

 

과일 용기를 몇 번을 사용하는 것이 일회용기에 비해서 환경성이 우수한 것인가라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연구자 아마 다 연구 결과가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평가를 하기 힘들다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어쨌든 원칙은 다해 용기 그러니까 텀블러나 장바구니 같은 경우에도 남용 내면 안 된다라고 하는 것이죠.
텀블러나 장바구니를 일회용기처럼 쓰면 안 되는 것이죠. 


다이 용기의 경우에는 가장 좋아하는 다해 용기를 그냥 하나를 가지고 그것을 평생 사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 그래서 선물용으로 남용되는 것도 저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니


텀블러를 육 개월 이상 사용하게 되면은 중금속이 유출된다 라고 하는 얘기를 어느 의사분이 어느 방송에서 하신 얘기에요. 
검정된 얘기가 아니에요.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일단은 신뢰를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식약처에서 텀블러의 중금속 유출과 관련해서 실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식약처의 공식적인 실험 결과는 중금속 유출의 위험이 없다 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따라서 텀블러를 6개월 주기로 교환하는 것은 과잉 대응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만약에 텀블러가 그렇게 위험하다고 한다면 마찬가지로 냄비라든지 모든 식기도 육 개월마다 다 교체를 해야 되는 거잖아요. 
그러면 오히려 더 일회용 플라스틱 컵 쓰는 게 훨씬 더 낫겠죠. 
오히려 텀블러를 선택하실 때 저는 플라스틱이 적게 사용된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필요하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따라서 텀블러는 조금 더 안심하시고
스테인레스로 된 텀블러를 선택하셔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텀블러는 어떻게 버려야 되냐 라고 하시는데요. 
그러니까 텀블러가 재활용이 잘 되게 하려면 플라스틱이 적게 사용된 텀블러를 선택하시는 게 좋다는 거죠. 
지금 텀블러 중에서 사실상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안쪽은 스탠네스로 되어 있고 바깥쪽은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인 이중 구조의 텀블러가 특히 젊은 층에서 예쁘다고 많이 소비가 되고 있고 모 업체에서는
그것을 판매를 하고 있는데 저는 이런 텀블러는 소비자가 배격을 해야 한다 그래서 최대한 단일 소재로 되어 있는 텀블러를 선택을 하시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요 지자체 같은 경우에도 일회용 컵 쓰지 말라고 환경 행사에서 기념품으로 텀블러를 나눠주는데
플라스틱과 같이 뒤섞여 있는 텀블러를 또 나눠줘요. 
이건 오히려 환경을 이해하는 행사가 아닌 거죠. 
그래서 지자체나 이런 행사에서 기념품으로 텀블러를 선택하실 때도 최대한 분리 배출이 용이한 좋은 재질로 단일 재질로 된 텀블러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분해해서 못 버리죠 그러니까 어떻게 해요. 
쓰레기로 버리셔야죠 힘들어 이거는 지침이 없어
플라스틱이 많이 사용된 텀블러의 경우에는 일반 쓰레기로 버리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니까 플라스틱이 일부 사용된 텀블러는 고철로 버리시면 되고요 플라스틱이 많이 사용된 즉 플라스틱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인 텀블러의 경우에는 일반 쓰레기로 버리시는 것이 맞습니다. 
플라스틱 빨대의 경우에 우리가 일반적으로 분리 배출할 경우에는 분리 배출하더라도
선별장에서 선별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정에서 배출할 경우에는 재활용이 되지 않는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가정에서 분리 배출할 경우에 현재의 상태에서는 빨대는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시면 되고요 빨대가 재활용이 되려면 빨대를 별도로 모을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됩니다. 
따라서 어디 빨대를 모을 수 있는 거점이 만들어져야 되다
그런 빨대를 모을 수 있는 거점을 만드는 것이 현재의 우리 과제가 되겠습니다.
일단은 종이의 재활용에 대해서 먼저 이해를 하셔야 됩니다. 
우리가 쓰는 종이라고 하는 것은 셀룰로스라고 하는 섬유들이 가로 세로로 겹쳐져서 종이가 되는 겁니다. 
그래서 이 종이를 재활용하려면 이 섬유 물에 푼 다음에 다시 이 섬유를 모아서 종이로 다시 재활용을 하는 겁니다.
그런데 코팅이 되어 있는 종이와 코팅이 되어 있지 않는 종이는 섬유가 물에서 풀어지는 속도가 다릅니다. 
코팅이 되어 있는 종이 같은 경우에는 잘 풀어지지가 않는 거죠. 
그러면 이 코팅이 된 종이가 풀어질 때까지 제제 회사에서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로 빼버립니다. 
따라서 비닐 코팅된 종이는 여러분들이 아무리 분리 배출하셔도 제지 회사에서 쓰레기로 빠져나와서 소각이 되는 거죠.
따라서 코팅이 된 종이는 배출하실 때 재활용품으로 배출하시면 안 되고 쓰레기로 배출하셔야 돼요 코팅이 되어 있냐 되어 있지 않냐 않느냐라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 않습니다. 
현재 단계에서는 소비자들이 확인해서 버릴 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굉장히 원시적인 방법인데 찢어보시고 종이에 비닐이 일어나면은 그 비닐은 쓰레기로 버리셔야
코팅이 아주 적게 되어 있는 종이 같은 경우에는 소비자가 사실은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종이로 같이 배출하셔도 돼요. 
나 님이 코팅된 비닐을 뜯어서 버리면 종이로 버려
코팅된 비닐을 뜯으시면은 분리 배출하셔도 됩니다. 
그렇게 열심히 분리 배출하시는 분들이 계세요. 
하지만 모든 시민들에게 그렇게 요구하기는 힘들 것 같아요. 
그전에 중요한 것은 생산 단계에서 생산자들이 굳이 비닐 코팅된 종이를 생산할 필요가 없어요. 
그런데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편견이 뭐냐 하면 종이는 친환경적이다. 
종이는 재활용이 잘 된다.
이런 편견에 사로잡혀 있어요. 그러면서 그 사이에 종이에 계속 코팅이 입혀지면서 재활용이 되지 않는 종이가 점점 더 많아져요. 
그런데 소비자들은 분리 배출하니까 네 문제없다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생산 단계에서 생산자들이 재활용되지 않는 종이를 계속 많이 만들어내는 것에 대해서 문제의식을 못 느껴요. 

그러면 코팅 종이 마지막으로 종이컵도 마찬가지인 거요.
종이컵 종이로 된 컵라면 용기 아이스크림 용기 팝콘 용기 그다음에 감자칩 모두 다 코팅이 되어 있는 종입니다. 
현재 단계에서는 다 쓰레기로 배출하셔야 돼요



물에 젖은 종이는 어쩔 수 없이 젖은 경우에는 분리 배출하셔도 됩니다. 
근데 문제 종이가 젖은 상태로 장기 보관을 하게 되면 이제 냄새가 날 수가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종이를 재활용하는 공정 자체가 물에 푸는 거거든요. 


물에 젖는다라고 하는 것 자체만으로 재활용이 안 되는 것은 아닙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