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순자산이 얼마나 되시나요. 참고로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수 내가 보유한 자산이 순 자산입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각국에서 자신의 나라의 순자산 기준 1% 안에 들려면 어느 정도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
이에 대한 답은 영국 런던에 위치한 비상장 자산 컨설팅 기업 중 가장 큰 나이트 플랭크가 최근 발표한 자료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멀리 아프리카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아프리카에서 여섯 번째 경제 규모를 지닌 케냐에서는 2만 달러만 있으면 상위 1%의 순자산 보유자가 됩니다.
세계에서 가장 섬이 많은 나라이자 최대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에는 6만 달러 1960년대 우리나라보다 잘 살았으며 그 당시 아시아의 부국 중 하나였던 필리핀 또한 순자산 6만 달러면 엄청난 부자 소리를 들을 수 있네요.
2020년 기준 아시아 1위의 부자인 무케시 암바니가 있지만 국가 전체로는 빈국인 인도도 6만 달러면 충분합니다.
아프리카 gdp 1위의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고 부호는 물론 전 세계 흑인 중 가장 부자인 알리코 단고테가 태어난 나라입니다.
그렇지만 7만 달러의 순자산으로 1% 안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경제 성장 속도가 높은 만큼 부자들도 급속도로 늘고 있는 베트남 이런 이유에서인지 순자산 16만 불은 있어야 상위 1%에 들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 3위의 경제 경로이며 아프리카 중 백인이 가장 많이 정착한 나라이자 자연부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렇지만 빈부 격차가 아주 심해 1%의 순자산 보유자는 18만 달러 정도 있으면 가능합니다.
남미 1위의 경제 대국인 브라질 그렇지만 국민 대부분이 경제적 안정감이 떨어지는데요.
28만 달러입니다. 드라큘라 백작가 독재자로 결국은 총살된 차우체스크의 나라 루마니아 30만 달러가 필요합니다.
8번의 국가부도 역사를 지니고 있는 아르헨티나 이 나라의 1% 부자들의 순자산은 생각보다 높네요.
36만 달러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로서 그만큼 자연 부국인 불공부 러시아 40만 달러입니다.
여러분이 좋아하는 라면과 과자에 들어있는 파유 파모일이라고도 하죠.
세계 2위의 파모일 생산 국가이자 동남아시아에서 꽤나 준수한 경제력을 지닌 말레이시아 순자산 54만 달러는 있어야 상위 1% 안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다음은 중국입니다. 84만 불입니다.
120만 달러의 순자산이 있어야 대한민국 상위 1%에 들어갑니다.
다음은 중동 오일머니의 위력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는 아랍에미리트 130만 달러가 필요합니다.
이 나라 사람들 손만 닿으면 모든 게 명품이 됩니다.
유럽 4위의 경제대국이자 g7 멤버인 이탈리아는 140만 달러 2016년 한때 세계 1위 부자가 된 자라의 창업자 아마시오 오르테가의 모국 스페인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140만 달러는 있어야 하네요.
선진 7개국 g7 전 g5 원년 멤버로 오랫동안 아시아를 넘어 세계 경제 대국인 일본 150만 달러입니다.
요즘 아주 잘 나가는 나라입니다. 세계 1위의 파운드리 업체 tsmc 세계 자전거 시장 1 2위 자이언트와 메리다 그리고 아수스 에이서 msi 기가바이트 등 세계적인 노트북 브랜드를 소유한 대만
일본과 마찬가지로 150만 달러는 있어야 1% 순자산가가 됩니다.
한때 세계 1위의 경제 대국 해가 지지 않았던 영국 180만 달러입니다.
유럽 1위의 경제대국이자 모든 기계는 다 잘 만드는 독일 200만 달러가 필요합니다.
세계 1위의 럭셔리 브랜드 lvmh 회장이자 유럽 1위의 부자 베르나르 아르노의 나라 프랑스 210만 달러 작은 나라지만 최근 유럽에서 경제 성장률이 좋은 아일랜드는 260만 달러입니다.
광활한 영토에서 생산되는 천연자원이 풍부한 캥거루국 호주 역시 잘 사네요.
280만 불이 있어야 하네요.
세계 최고의 집값을 자랑하는 홍콩 역시 280만 달러입니다.
인구보다 가축 수가 더 많고 키위도 많이 생산되는 키위국 뉴질랜드 또한 280만 달러입니다.
서울 정도 크기지만 아시아는 물론 세계에서도 아주 잘 사는 도시국가 싱가포르는 290만 달러나 있어야 하네요.
세계 1위의 경제대국 미국 인구가 3억 2천만 명이 넘는데도 상위 1%에 들려면 440만 달러는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부산 인구 정도 인구가 부채가 없는 순자산을 우리 돈으로 약 50억 정도 보유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역시 천조국이라 다르네요. 그 다음은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 중 하나이며 여행 가서 살인적인 물가에 소름 끼치게 만드는 스위스입니다.
510만 달러입니다.
이 통계 발표에서 1위 국가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작은 영토를 지닌 국가지만 전 세계 많은 부호들이 살고 있는 모나코입니다.
무려 790만 달러 우리 돈 약 87억 원이 있어야 순자산 상위 1% 안에 들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위기가 왔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대처법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0) | 2023.03.31 |
---|---|
달러 예금에 대한 단점 그리고 그 대안을 제시해 드립니다. (0) | 2023.03.31 |
예금 적금 함부로 들지 마세요. 은행의 파산 위기 조심하세요. (0) | 2023.03.30 |
위기의 부동산 과연 탈출구는 있는가? 장기불황의 가능성 (0) | 2023.03.30 |
롯데건설의 위기는 한국경제의 위기로 이어질 것인가?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