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이코패스는 일반인과 다른 뇌구조를 가지고 있을까? 유영철, 이은해, 조두순, 이영학

by 로이인랑 2023. 6. 9.
반응형


사실 사이코패스라는 거는 진단명은 없습니다. 
정신의학적으로는 반사회적 인격장애 영어로는 엔타이 소셜 퍼스트넬러티 디소드라는 그런 반사회적 인격장애라는 용어를 들 수가 있는데요. 


지난 2021년 전자발찌 훼손 전후로 여성 두 명을 살해하고 검거된 강 모 씨 영상을 잠시 보여드리겠습니다.
기자들이
범행 동기를 묻자 갑자기
발길질하고
욕설도 내뱉습니다.
유족분들께 하실 말씀 없으십니까?
하실 말씀 없으세요?
어머니
내가 더 많이 죽이지 못하게 하게 된다.
안다고 거래하지 않는 겁니까? 네 쉽게 흥분하면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게 되고요. 


이처럼 사회의 규범을 지키지 못하고 이렇게 감정에 의해서 우리가 보통은 아무리 화가 나도 다른 사람을 때린다든지 뭐 불을 지른다든지 뭔가를 부순다든지 이런 행위를 하지 않는데 쉽게 행분하고 이런 모습들을 보이게 되고요.
사이코패스들은 병적인 거짓말들도 되게 많이 하고요. 


죄책감도 낮고요. 주변을 잘 속이거든요.
반사회적 인격 장애가 있다고 해서 모두 사이코패스인 건 아니죠.
반사회적 인격장애가 곧 그 사이코패스라고 할 수는 없구요. 
우리가 보통 반사회적 인격장애가 있다고 모두 다 살인을 하고 모두 다 여러 명을 살해하는 건 아니구요. 


왜 사이코패스라는 용어가 나왔느냐 우리가 상상을 초월하는 어떤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반사회적 인격 장애가 있는 사람들 중에서 나온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고요. 우리나라에서는 사실 유명한 용어가 아니었어요. 
여러분들 언제 처음 들어보셨는지 혹시 기억나세요?
어릴 때는 못 들어본 말이었어요. 맞아요.


사실 이 용어는 2004년 희대의 살인범 유영철 사건 이후로 많이 회자되게 됩니다.
유영철 사건이 있고 난 후에 강호순 조두순, 이영학, 이춘재, 이은혜까지 이런 반사회적 인격장애 중에서 상당히 끔찍한 일을 저지르는 사이코패스가 이제 일반인들에게 많이 각인되게 된 거죠. 


혹시
뭐 검사나 이런 걸로 이런 거를 판명할 수 있나요?
세계적인 수사기관에서 널리 사용되는 게 pclr이라는 검사입니다.
pclr 같은 경우는 전문가가 교육을 받고 인증을 받아야 돼요. 


항목도 좀 정해져 있거든요. 그렇게 해서 면접을 해서 면담을 해서 거기에서 진단을 하는 건데 총 이제 이십 항목이 있어요. 
그래서 뭐 보시면은 병적인 거짓말을 한다든지 아니면 후회 혹은 죄책감이 결여돼 있다든지 이런 항목들을 체크를 하는데요. 
그중에 이건 아니다라고 하면 0점인 거고요. 


어느 정도 이거는 좀 포함이 된다라고 하면 1점 근데 진짜 아주 그렇다라고 하면 2점을 매기게 됩니다.
그래서 총점은 사십점이 되는데요. 이 중에서 한 이십오 점 정도가 우리가 사이코패스의 기준으로 보고 있는데 그렇다고 이십삼점 이십사 점이라고 해서 사이코패스가 아닌 건 아니에요. 


그쵸?
그니까 이게 점수로 나타내는 거기 때문에 칼로 무 자르듯이 이다 아니다가 아니라 어느 정도냐로 얘기할 수 있는 거겠네요. 
그쵸?
그러면 지금 아까 나왔던 범죄자들 사이크오페스 범죄자라고 했던 분들은 보통은 몇 점 대였죠?
유영철이 역대 최고 점수인 38점으로 알려져 있고요. 


이은혜 31점, 조두순 29점, 강호순 27점 그 다음에 이영학 25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clr 같은 경우는 남성 사이코패스 기준으로 만들어진 측정 도구예요. 
그러다 보니까 여성 같은 경우는 정서적인 부분은 되게 많이 일치를 하는데 생활 방식이나 반사회적 행동에서는 조금 더 낮게 나와요. 
사실 여성의 연쇄 살인범에 대해서 연구된 자료가 많지 않아요. 


그런데 켈러에 따르면 여성 연쇄 살인범의 범행 동기는 칠십4퍼센트가 경제적 이익이나 신분 상승에 의한 것이라고 얘기해요.
남성 연쇄 살인범들이 대부분 성적 쾌락을 위해서 살인을 한다고 한다면 여성 같은 경우는 경제적 이익이나 신분 상승의 목적인데 왜냐하면 보통 연쇄살인범들은 관심을 받고 싶어 하고 주변을 통제를 하고 싶어해요. 


남성들 같은 경우는 그것을 성을 목적으로 한다고 한다면 여성 같은 경우는 내가 돈이 생기면 사람들이 나한테 관심을 보여요. 
그리고 내가 내 주변을 통제를 할 수 있어요.
그런 욕구가 점점점점 강해지면서 이것이 살인으로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 살인을 하게 되는 거죠.
근데 이런 사이코패스는 일반인들하고 뇌 구조가 다른 건가요?
이게 이제 대뇌를 뇌를 시상면 그러니까 위에서 아래로 이렇게 단면을 내서 본 건데요. 


빨갛게 그림이 그려져 있는 부분이 보이실 텐데요. 
요 앞쪽에 빨갛게 있는 부분 전전두엽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전전두엽은 뭐냐 우리의 이성을 관장한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우리가 술을 마시게 되면 평소에 하지 않는 말을 한다든지 실수를 하게 되잖아요. 


술을 먹게 되면 전전두엽 요 앞쪽에 있는 부분에 기능이 약해지면서
원래 우리가 이성으로 꽉 잡고 있었던 말 하지 말아야 되는 말 있죠 그런 말들을 하게 되는 것도 요 앞쪽이랑 관계 있습니다. 
삥 둘러 보이는 거 보이세요? 한 바퀴 둘러보는 거 이런 걸 선조차라고 합니다. 


일을 할 때 뭔가 참으면서 하는 일 이런 것들을 관장하는 쪽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은데 이런 부분도 문제가 있고요. 
요 아래 삥 둘러서 아래에 이렇게 있는 부분 있죠 이게 약간 아몬드를 닮았다라고 해서 편도체라고 부릅니다.
이성과 관련된 거 그러니까 내가 평소에는 이성을 가지고 뭔가 억눌러야 되는 그 부분과 쭉 이렇게 돌아가는 부분들은 내가 좀 재미를 위해서 도파민이라고 하죠 이런 뭔가 흥분을 느낄 때 이런 거와 관련된 거 사이코패스에서 이게 조금 정상이라고 부르는 분들 보통 비 사이코패스와 기능이 완전히 다르든지
뭐 크기가 크다든지 이런 논문들이 많이 발표되어 왔습니다. 
결론적으로는 뇌 구조가 정상인과 좀 다르다라는 것은 논문으로서 많이 발표되고 있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그러니까 예상했던 것보다 사이코패스의 뇌 구조가 일반인의 뇌 구조랑 많이 다른데 그럼 문제는 유전적으로 혹은 선천적으로 이런 뇌 구조를 갖고 태어났으면 무조건 사이코패스가 되고 범죄자가 되는 건가요?
이런 뇌 구조가 있다고 하더라도 어떻습니까? 제대로 된 양육 환경이라든지 본인이 어떤 좋은 사회 환경에 놓여져 있을 때는 뇌과학자도 될 수 있는 거구요 훌륭한 사람이 될 수도 있는 겁니다. 


어 그리고 이런 뇌 구조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네 본인이 실제로 범죄를 저지르고 뭐 이러면서 뇌 구조가 바뀔 수도 있습니다. 
이런 거를 뇌의 가소성이라고 그러는데요. 
가소라는 건 플라스틱이라는 성질이 있다라는 거예요.
뇌도 태어날 때부터 결정되는 게 아니구요. 
우리가 마음을 어떻게 쓰고 생각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뇌의 형태학적 구조도 바뀝니다. 


정리하자면 이런 뇌 구조가 있다고 하더라도 다 사이코패스가 되는 건 절대 아니구요. 
뭔가 사회적 환경이라든지 양육 환경이라든지 이거에 있을 때 그 중에 일부가 사이코패스가 되는 거구요.
에프비아이에서 연쇄 살인범들의 어린 시절, 어린 시절 뿐만 아니라 심층 면담을 해서 공통된 게 두 가지가 있었어요. 
하나가 어린 시절의 학대 그리고 또래 집단에서의 고립이었거든요. 


이런 부분들은 사실 살아오면서 자신이 어떤 사회 환경에서 그 적응하기 위한 것들 중에 굉장히 큰 부분이거든요. 
그래서 배척을 당했을 때 공격성이 표출이 되는데 이것이 극단적으로 표출이 되면 살인이 될 수 있다는 거죠. 
그게 사이코패스라는 개념이 나왔을 때 많은 연구들이 있었어요. 


현재 추세는 이런 생물학적인 유전적 요인 플러스
사회 현상적으로 내가 겪었던 환경까지 복합적으로 고려가 돼서 이것이 전인격적인 병리 현상으로 봐야 된다라는 게 지배적
유전적인 영향도 있을
수 있다는 거죠. 제임스 펠런 박사가 실제로 자기의 뇌 사진을 봤더니 사이코패스의 뇌와 동일했어요.
그리고 자기 유전자도 조사를 해봤더니 마오웨이라고 공격 유전자도 높게 나왔어요. 


그리고 자신의 가계도를 봤더니 자신의 가계도에 살인범이 굉장히 많았어요. 
네 그래서 아 그럼 나는 사이코패스의 기질을 갖고 태어난 사람이 맞구나 그 주변인들한테도 물어보니까 너 무감각해 맞아 너 좀 무신경한 데가 있어 라는 얘기들을 듣게 돼요. 
근데 제임스 펠런 박사가 이런 말을 합니다. 
하지만 난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다. 난 사이코패스가 아니다. 


사이코패스는 장전된 총과 같다
발사되지 않았다. 이 장전된 총을 발사되지 않게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얘기를 합니다. 
그래서 사이코패스의 개념에 대해서 그렇게 생각하셨으면 좋겠어요.
굉장히 조심하셔야 돼요. 유전적 또 뇌의 구조 이게 사이코패스를 결정하는 건 아니다 아니죠 그니까 모나미 역시 데이지 에이 뭐 이런 특정 유전자가 있습니다. 


의심하는 유전자도 있긴 한데요. 근데 그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고 모두 다 그렇다 절대 그런 거라고 생각하시면 안 되고요. 
복합적으로 사회 현상, 양육 환경도 고려해야 된다는 걸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다만
사이코패스에서 많이 보이는 뇌 구조는 연구되고 있다 라는 정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